수시 전형이 복잡하고 대학마다 다양한 기준으로 학생들을 선발하다 보니 무엇을 기준으로 지원을 해야 하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특히 원서접수가 시작되면 그 전까지 수시에 대한 준비가 전혀 없던 학생들도 분위기에 휩쓸려 지원하기 일쑤다. 이렇다 보니 수시 모집은 경쟁률은 높지만 합격하는 학생들은 많지 않다. 경쟁이 치열해진 만큼 지원전략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번시간에는 수시 성적대별 지원전략을 살펴보자.
학생부 1등급대 성적 상위권 수험생
최상위권 대학의 학생부 중심전형에 지원이 가능하다. 서울대 지역균형선발, 연세대 학생부교과, 고려대 학교장추천, 서강대 학생부교과 등이 해당된다. 최상위권 대학의 교과형 학생부 종합전형과 새롭게 신설된 학생부교과전형의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진다.
첫째 학생부 성적도 1등급 초반이고 수능 모의평가 성적도 학생부 성적과 마찬가지로 우수하다면(인문 : 백분위 96이상, 자연 : 백분위 94) 수능 공부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수능에 집중하되 최상위권 대학의 논술 전형에는 지원을 해 두자. 논술전형의 경우도 6번을 모두 활용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여 진다. 지원 대학을 최소화하고, 수능에 집중하도록 하자. 신설된 연세대나 서강대의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 비교과가 반영되기 때문에 무턱대고 지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학생부 성적이 1등급 초반이지만 수능 모의평가 성적이 다소 낮다면(인문 : 백분위 92, 자연 : 백분위90) 좀 더안정적으로 합격할 수 있는 대학에 추가로 지원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중요한 것이 수능 성적을 예상하여 정시 지원 가능 대학을 정하는 것이다. 정시로 합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학보다 성적이 높은 대학의 학생부 중심 전형에 추가로 지원하여 수시 합격 가능성을 높이고, 상위권 대학의 논술 전형 지원도 고려해야 한다.단, 논술 전형에 지원하더라도 논술에 올인하기보다는 수능 공부에 집중하는 좀 더 효율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생부 성적에 비해 수능 모의평가 성적이 좋지 못하다면(백분위 90이하) 수시에서 좀 더 많은 대학에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좋다. 인문계열 학생들을 기준으로 수능 백분위 90이하면 정시에서 상위 11개 대학 합격을 장담하기 어렵다. 따라서 수시에서 좀 더 많은 대학의 학생부 중심전형에 지원하고, 상위권 대학의 논술 전형 준비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 물론 수능 최저를 적용하는 대학이 많으므로 수능 학습도 병행해야 한다. 수능 성적이 매우 저조하여 수능 최저를 만족하기 어렵다면, 수능 최저 기준이 낮은 대학이나 수능 최저를 적용하지 않는 대학까지 지원 범위를 넓혀 지원해야 한다. 한양대 학생부교과전형이 이에 해당한다.
2등급 초·중반 수험생
비교과 실적이 있더라도 상위 11개 대학의 학생부 중심 전형에 합격하기는 어렵다. 수능 성적과 논술 준비 등을 고려하여 지원전략을 짜야 한다.
첫째 학생부 성적에 비해 수능 모의평가 성적(영역별 성적이 2등급 이상)이 우수한 학생들이라면 수시 지원을 최소화 하고 수능에 전념하는 것이 좋다. 수능 후 실시하는 논술 전형에 보험성으로 지원하고 수능 시험 이후 가채점을 통해 논술 응시 여부를 결정하자. 남들도 수시에 지원한다고 해서 무턱대고 수시에 지원하게 되면 수능 학습이 흔들릴 수 있으므로 수시 지원은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 좋다. 수능 최저기준을 충족할 수만 있다면 논술로도 충분히 지원이 가능한 성적대기 때문에 수시는 논술중심의 지원전략을 수립하도록 하자.
둘째 수능 모의평가 성적(영역별 성적이 2등급내외)도 학생부 성적과 비슷한 수준이라면 논술 준비 여부 등을 고려하여 수시 지원을 결정해야 한다. 논술을 꾸준히 준비한 학생들이라면 수능 최저를 고려하여 지원을 하고 논술과 수능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반면 논술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학생들이라면 무리하게 논술을 준비할 것이 아니라 수능에 집중하면서 수능 후 논술이 실시되는 중위권대학의 논술전형을 노리자.
셋째 수능 모의평가 성적(영역별 성적이 2등급 미만)이 학생부 성적에 비해 낮다면 대학의 폭을 넓혀 수시에서 합격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수능 최저 만족 여부를 따져 지원을 결정해야 하며, 안정적으로 합격할 수 있는 대학까지 지원 폭을 넓혀야 한다. 논술을 꾸준히 준비한 학생이라면 논술 전형 지원도 고려해야 한다. 단, 예상 수능 성적이 좋지 않아 상위권 대학의 수능 최저를 만족시키기 어렵다면, 수능 최저를 적용하지 않거나 수능 최저 기준이 낮은 대학에 안정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논술 전형 중에서 단국대 논술전형 등은 수능 최저를 적용하지 않는다.
학생부 3등급 초반 수험생
학생부보다 모의평가 성적이 좋다면 수시 지원은 정시에서 합격할 수 있는 대학보다 상향 지원하되 최소화하고, 수능 공부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논술을 꾸준히 준비했고 비교과 실적이 있다면 중위권 논술 전형과 학생부 종합전형에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수능 최저학력기준에 따라 최종 당락이 결정되므로 수능 성적을 올리는 것이 우선이다. 논술전형은 자신의 논술 실력을 객관적으로 알 수 없어 당락의 판단이 어려우므로 정시와 같이 준비하거나 안정지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논술 준비는 안 되어 있지만 비교과나 특정 분야에서 꾸준한 실적이 있다면 학생부종합전형에 지원해보는 것도 좋다. 학생부종합 전형에서는 교과 성적 중 모집단위와 연관된 과목의 성적을 우선적으로 평가하거나 학년별 성취도 등도 평가하는 점도 참고해야 한다.
학생부 3등급 중·후반 수험생
학생부 성적 3등급 중․후반대인 학생들은 논술과 비교과 실적이 모두 준비되어 있어도 최상위권 대학의 합격이 어렵다. 모의평가 성적이 좋다면 정시에 집중하는 것이 좋겠지만 정시에서도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면 중위권 논술전형으로 상향지원을 하거나, 학생부종합전형에 지원해보자. 단, 여러 대학에 지원할 경우 대학별 논술 실시일이 겹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비교과 실적이 없고 논술 준비도 안 되어 있지만 수능 모의평가 성적이 3등급 이상이라면 정시 지원이 유리하다. 수능 모의평가 성적도 좋지 않다면 적성검사 전형을 공략하는 것이 최선이다.
4등급대 수험생
4등급 학생의 경우 비교과 성적이나 논술 등으로 부족한 학생부 성적을 만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무리하게 상위권 대학의 논술 전형 등에 지원해서는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모의평가 성적이 평균 3등급 이상이면 서울지역 대학에 정시 지원이 가능하지만 4등급 이하라면 힘들다. 이 경우 전공적성검사를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한다. 적성검사는 가천대, 수원대,한성대, 대진대 등 13개 대학에서 실시한다.
전공적성검사는 각 대학 홈페이지에 게재된 기출문제를 통해 준비해야 한다. 최근 고교 교과과정의 출제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교과서와 수능 문제를 통해 준비하도록 하자. 일부대학의 경우 수능 최저도 적용함은 잊지말아야 한다.
비교과 실적이 뚜렷하다면 입학사정관 전형 지원을 고려해볼 수 있지만 교과 성적이 낮아 합격을 기대하긴 어렵다. 따라서 다른 전형도 함께 준비해야 한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김희동 소장은 “자신의 성적을 고려하여 수시/정시를 함께 고려해서 지원 전략을 수립해야지 당장 눈앞에 보이는 수시만 바라보고 지원전략을 세웠다가는 수시/정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놓칠 수 있다. 성적이 좋은 학생들도 전략 없이 이것저것 준비하다 보면 중심을 잡지 못하고 흔들리기 일쑤다. 막연한 기대나 불안감으로 수시 모집에 지원할 것이 아니라 확실한 전략을 세우고 마지막까지 밀고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수시입시에 있어서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